Posted
Filed under .NET/C#
CheckSum Program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 Datagram를 통하여 CheckSum 구해주는 프로그램
물론 에러는 무수하게 존재.. Show Data(binary)버튼을 누르게 되면.. 10진화된 데이터 그램을 아래에 2진화 시켜서 구해주게 됩니다. 그리고 Result Checksum을 누르게 되면 텍스트 박스에. 그림과 같은 수행결과를 보여주며 체크섬을 표시합니다.Visual Stduio 2008(.NET Framework 3.5기반)에서 제작되었습니다.
. 소스 공개는.. 부끄러워서 하지 않겠습니다.
. 프로그램에 문제 발생시 추 후 디버깅은 하지 않습니다..;;
2009/07/10 23:13 2009/07/10 23:13
Posted
Filed under 공부한 것들/네트워크

→ 프레임(Frame) : 802.3은 서문, SFD, DA, SA, 길이/유형, 802.2 프레임, CRC 등 7개가 들어있는 프레임 유형을 정의. 이더넷은 수신된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음. 확인응답은 상위계층에서 구현되어야 함.

Preamble

SFD

Destination Address

Source Address

Length

PDU

Data and Padding

CRC

 

7byte

1byte

6byte

6byte

2byte

46~1500byte

4byte

→ 서문(Preamble) : 0과 1이 반복되는 7바이트(56비트)가 들어있는 802.3 프레임의 서문은 시스템이 들어오는 프레임을 수신하게 하고, 입력 타이밍을 맞추게 함, 실제로 서문은 물리계층에서 추가, 프레임의 일부가 아님

→ 시작 프레임 구분자(Start Frame Delimiter : SFD) : 802.3 프레임의 SFD 필드(1바이트)는 프레임의 시작을 알림. SFD는 지국에게 동기를 맞추는 마지막 기회를 제공(마지막 두 비트가 11이면, 다음 필드는 목적지 주소

→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 : DA) : DA는 6바이트이고, 다음 지국의 물리주소가 들어 있음

→ 발신지 주소(Source Address : SA) SA는 6바이트이고, 이전 지국의 물리주소가 들어있음

→ 길이/유형(Length/Type) : 길이/유형 필드는 두 가지 의미 중 하나. 필드 값이 1518보다 작으면 길이 필드, 이어지는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나타냄. 이 값이 1536보다 크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 정의

→ 데이터(Data) : 데이터 필드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서 캡슐화된 데이터를 전달.(최소 46, 최대 1500바이트)

→ CRC : 802.3 프레임은 마지막 필드에 오류 검출 정보를 포함, 이 경우 CRC-32

2009/07/10 15:45 2009/07/10 15:45